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태그리스 페이 Tagless Pay 버스 자동결제 승차

by 에이급 2022. 3. 3.

버스 자동결제 승차 시스템 확대

경기도에서 대중교통인 버스에 3월부터 확대 시행하는 새로운 결제 방식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버스를 탈 때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승차와 동시에 자동으로 버스 요금이 결제되는 방식입니다. 감염병 예방을 최소화하고 탑승객의 편의성을 늘리고자 도입한 사업으로 경기도를 시작으로 전국에서도 운영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태그 리스 페이 앱 설치 후 이용

버스 승차 전 휴대폰에서 "태그 리스 페이" 앱을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설치 후에 선불카드 또는 후불카드를 등록하거나 잔액을 충전한 뒤 메인 화면에 "태그 리스 설정"을 ON으로 켜주신 뒤 휴대폰 블루투스를 켜주시면 됩니다. 버스 안에는 이미 다섯 개의 블루투스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탑승 시 휴대폰과 신호를 주고받아 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됩니다. 자동 결제되면 "태그 리스 Tagless입니다"라고 단말기에서 기계음이 나오게 됩니다. 본인 휴대폰의 블루투스와 버스 내부에 설치된 블루투스가 연동되어 탑승 시 자동 결제되고, 하차 시에는 블루투스의 연결이 끊어져서 버스를 내린 것으로 간주되는 방식입니다 

 

휴대폰으로 하차벨 누르기 가능

하차 처리된 것이 맞는지 불안하시다면 휴대폰에서 수동으로 하차 설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앱을 켰을 때 나오는 화면에서 하차벨을 누를 수 있는데요 내가 휴대폰에서 하차벨을 누르면 버스에 설치된 단말기 기계에서 하차할 승객이 있다는 안내가 나오게 됩니다

 

언제부터 시행?

태그 리스 시스템은 1월 24일 김포, 2월 21에는 의정부, 양주, 포천에서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3월 21에는 수원 등 20개 지자체에서 시행되며 1760대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버스가 태그 리스 시스템이 지원되는 버스인지 탑승 전에 확인 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나 내부에 태그리스 안내 스티커가 부착되므로 잘 확인하셔서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하철로 환승할 땐 어떻게?

태그리스 시스템이 설치된 버스에서 하차해서 지하철이나 태그리스 시스템이 없는 버스로 환승할 경우에는 앱을 켠 상태로 카드를 찍는 단말기에 접촉하면 요금 결제와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새로운 방식이 불편하신 분들은 기존과 동일하게 교통카드로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편하신 방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댓글